목록공부합시다 (99)
공부혜옹

1. React app생성하기(터미널) $ npx create-react-app my-app 이때 my-app은 자신이 원하는 앱 이름을 입력해준다. 2. my-app으로 directory 이동하기 $ cd my-app 3. start 스크립트 실행 $ npm start 4. Production build 생성하기 $ npm run build 5. Serve 설치하기 $ npm install -g serve 개인적으로 참고한 강의에선 -g 은 글로벌 옵션이기 때문에 설치한 컴퓨터 모든곳에서 사용가능하고 super user여야 글로벌 명령어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sudo를 앞에 붙인다고 설명하셨으나, 본인은 sudo를 붙일때 오히려 Command Not Found 에러가 떠서 sudo를 제외하고 실행했..

React란? : 화면을 만들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 웹페이지를 쉽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녀석! 라이브러리란? : 자주쓰는 기능들을 모아놓은 것 React의 장점 : 1. Virtual DOM을 사용해 빠른 업데이트와 렌더링 속도 최근의 웹페이지들은 사용자들과 상호작용이 굉장히 많이 이루어진다. 버튼을 클릭하거나 누를때, 입력을 할때 등과 같은 상호작용으로 인해 페이지에 업데이트가 수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웹페이지 전체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성능면에서 굉장히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이다. 이러한 부분을 React에서는 실제DOM(위 그림에선 Browser DOM)을 수정하는 것이 아닌, Virtual DOM을 사용하여 수정하여 실제DOM에서는 수정이 필요했던 최소한의 부..

일반적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의 데이터는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막는데, 그 이유는 객체의 데이터를 마음대로 읽고 변경할경우 무결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한다. 클래스를 선언할 때 가능하면 필드를 private로 선언해서 보호하고 Setter와 Getter를 사용해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들어 세상에 몸무게가 음수인 사람은 없다. mySecret.weight = -10; ;하지만 위의 코드의 경우 Secret 객체의 weight 필드값을 음수로 설정한다. 이런 일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데이터를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막고, 메소드를 거쳐 데이터를 접근하도록한다. 외부→데이터 (x) 외부→메소드→데이터 (o) 이것을 가능케 하는것이 바로 Setter메소드이..